본문 바로가기

개발개발51

토스트와 모달 토스트 : 페이지 이동 등의 인터랙션이 없을때 동작이 일어난건지를 사용자에게 명확히 알려주기 위한 역할ex. 링크 복사 버튼을 눌렀을때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유저가 탈퇴하면 메인 페이지로 이동하는데, 이때 토스트를 띄우는 것이 글로벌 변수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alert 로만 구현을 했다. 그런데 회원 탈퇴라는건 서비스에서 일종의.. 크리티컬한 동작이기 때문에 토스트보다는 alert나 모달을 통해 정말로 탈퇴하시겠습니까? 등의 문구를 띄워주는 것이 적합하다고 한다. 2024. 9. 5.
프로젝트 세팅하기 (feat. 험난한..을 곁들인) 코드잇 스프린트에서 첫 팀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내가 초기 세팅을 맡게 되었다.레포지토리 만들고 폴더 구조만 만들어놓으면 되는줄 알았지.... 근데 생각보다 부딪히는 문제들이 많아서 하나씩 적어보려고 한다. 먼저 팀원들과 아래 내용을 합의했다. 1. 어떤 CSS를 사용할 것인가 - module.css 2. 폴더 구조는 어떻게 구성할 지 3. 어떤 lint 를 사용할 지 - eslint, prettier, stylelint + husky (세부 설정값까지)4. 상태관리 - Context5. R&R - 기능 구현 분담, 문서화, 발표 등 6. 내가 부딪힌 문제들은 아래와 같다.1. lint와 formatter간의 버전 충돌 (config를 사용했는데도..)   -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닌건 알지만  npm i.. 2024. 8. 25.
코딩이란 개발 언어는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기계어를 표현하는 방법일 뿐이야. jj오빠가 해준 말이 바로 와닿진 않았는데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다른 블로그에서 풀어놓은걸 보니 1. 규칙을 찾는 것까지는 클리어 2. 막상 코드를 짜서 넣으면 오류가 발생한다. 3. 제한과 규정을 더해서 어떠한 범위를 설정해주고 필요한 경우 일정 케이스 값을 넣어주어야 코드가 성립한다. 대략 이런 흐름을 보니 그제서야 아 사람이 이해하는것과 기계가 이해하는게 다르구나 기계가 처리할 수 있게 적어주는게 코딩이구나 하고 어렴풋이 깨닫게돼서 기록. 2024. 4. 23.